본문 바로가기
흙수저 재테크

MMDA 통장이란?

by 실베스터5456 2020. 12. 16.

단기 자금이 생겼을 때, 활용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체로 CMA, MMF, 파킹통장, MMDA가 많이 언급됩니다. 오늘은 MMDA 통장이란 어떤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MMDA 통장이란 ?

MMDA는 Money Market Deposit Account의 약자로서, 시장금리부 수시입출식 예금이라고 합니다.

하나씩 살펴보면 Money Market은 단기 금융자산을 말하고, Deposit은 예금, Acoount는 계좌.

즉, 단기 금융자산을 예금하는 계좌?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전 국민이 모두 가지고 있는 보통예금통장과는 무엇이 다를까요?

단기 금융자산이라는 말이 언급되어 있는 것처럼, 단기의 목돈을 예금해 놓으면 보통예금 통장보다는 높은 이자를 지급해주겠다? 정도로 이해하면 될 듯합니다. 상세한 차이는 아래에서 다시 언급하겠습니다.

MMDA의 탄생 배경

단기 유동자금을 운영하는 것으로 가장 인기가 있는 것은 MMF입니다.

MMF를 활용한 MMF형 CMA통장도 있습니다.

 

MMF형 CMA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아래에서.....

2020/12/16 - [흙수저 재테크] - MMF 통장이란? 원금보장? MMF 통장 금리는?

 

MMF 통장이란? 원금보장? MMF 통장 금리는?

CMA에 대해서는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십니다. 하지만 CMA에도 4가지 종류가 있고, 그 각각은 원금보장 유무도 다르고, 각기 다른 운용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MMF 통장이란 CMA의 한 종류입니다. MMF

sylvester5456.tistory.com

MMF가 인기가 높아지면서, 단기 유동자금을 은행 측에서도 유치하기 위해 대응 차원에서 비슷한 개념의 MMDA를 도입하였습니다.

그래서 앞글자에 공통인 MMF, MMDA 약자가 들어가는 것이겠죠.

  ▶ MMDA 통장 금리 (2020. 12월 기준)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금리죠. 금리가 어떻게 되는지 알아야 다른 상품들과 비교해서 선택할 수 있으니까요.

몇몇 은행의 MMDA 상품을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 우리은행 
출처 : 국민은행
출처 : NH농협

 

금리를 보면 대체로 최대가 0.2% 정도입니다. 금리가 많이 낮네요.

CMA의 네 가지 유형중 가장 금리가 낮은 RP형의 현재 금리가 0.2%이고, MMF형의 경우는 0.5%를 보이는 것과 비교하면 낮은 금리입니다.

 

MMDA 통장 금리는 예치할 금액과 기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 MMDA 통장 장단점

 - 장점 1 : 보통예금처럼 입출금이 자유로움.

 - 장점 2 : 은행의 상품이므로 5000만 원 한도의 예금자 보호법이 적용.

 - 장점 3 : 각종 이체와 결제도 보통예금과 같이 사용 가능.

 - 장점 4 : 보통 예금보다 높은 금리 제공.

 

 - 단점 1 : CMA 보다 낮은 금리

 - 단점 2 : 매일 이자지급을 해주지 않는다. (이자는 매일 계산하지만 이자 지급은 1개월 또는 3개월 단위 지급)

 - 단점 3 : 최소금액이 있다. 위의 세 은행의 경우 500만 원 미만의 금액은 이자가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저는 단기 유동자금이 생긴다면, MMDA 통장을 활용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그보다는 조금더 금리가 높은 CMA통장을 활용하는 것이 더 금리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