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7 패시브펀드 란? 먼저 패시브펀드 란? 이란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찾게 되는 포탈 상의 백과사전의 설명을 보겠습니다. "특정 주가지수를 구성하는 종목들을 펀드에 담아 그 지수 상승률만큼 수익률을 추구하는 펀드를 말한다." - 출처 : 다음백과사전 - 백과사전의 설명만으로는 이해하기가 쉽지 않네요. 조금 더 자세히 풀어서 써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패시브펀드 란? Passive(수동적) Fund를 뜻하는 말로, 1. 시장지수를 2. 그대로 따라가게 설계하여 장기적인 차원에서 시장지수를 추종하여 시장 평균 수익을 추구하는 수동적 펀드입니다.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냅니다. - 펀드매니저가 펀드의 운영에 소극적으로 개입 - 낮은 수수료, 적은 거래비용 - 장기투자에 적합 - 펀드별 수익률의 격차가 적다. 이는 액티.. 2020. 12. 30. 목돈 굴리기 (5개월 후 지출예정인 단기자금 활용법) 예전에는 단기 유동 자금이 생기면 6개월, 1년 정도의 기간이면 아무 고민 없이 은행의 정기예금에 넣어 두면 되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6개월 보다 짧은 기간의 목돈 굴리기로 CMA가 부상하면서 CMA 목돈을 넣어 두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금리는 더더욱 낮아지고, 단기자금을 활용하기는 해야겠는데, 어디에 두어도 금리는 높지 않고, 그냥 놔두자니 추가 수익은 없고,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그래서 오늘은 단기자금 활용법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오늘 언급할 내용들은 다음과 같은 가정 상황에서의 최적의 상품에 대해 고민해 가는 과정을 기록한 것입니다. ▶ 가정 1 : 단기 여유 자금 1억 ▶ 가정 2 : 5개월의 기간 뒤에, 반드시 지출이 되어야 한다. (원금이 .. 2020. 12. 28. 전단채 란? (전자단기사채 란?) 투자해도 될까? 단기 목돈 굴리기에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요. 그중에 하나가 바로 전단채를 매수하는 것입니다. '사채'라는 단어가 사용돼서 인지, 왠지 불쾌한 느낌을 주기도 합니다. 전단채에 투자했다가 깍두기 아저씨들을 만나는 건 아닌가 하는 걱정이 됩니다. 하지만 전단채에 대해서 알게 되면 어감만 그런 것이지, 과도한 걱정이 아닌가 싶네요. 오늘은 전단채 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전자단기사채에 과연 투자해도 될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전단채 란? 전단채는 전자단기사채의 줄임말로서, 영어로는 Short Term Bond 입니다. '전자' '단기' '사채'라는 말을 투자자 입장에서 하나씩 풀이해서 살펴보면, '전자적인 방법으로 단기간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것'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전자적인 방법이라는 .. 2020. 12. 18. 파킹통장 금리비교 추천 파킹 통장에 대해서 요즘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커지기도 하였고, 저금리 시대에 들어서면서 단기에도 이자를 조금이라도 더 받을 수 있는 상품이 필요해졌기 때문입니다. 0.01%의 금리라도 우리에겐 소중하니까요. 오늘은 파킹 통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상품군들에 대한 파킹 통장 금리 비교를 해보고, 파킹 통장 추천도 개인적인 의견을 바탕으로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파킹통장은 단기간의 목돈을 통장에 넣어두었을 때에도, 일반 보통예금의 금리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해주는 상품입니다. 일반 보통예금은 보통 0.1%의 금리를 제공해 줍니다. 저금리 시대인 요즘에는 일반 보통예금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해준다 하여도, 기준금리가 워낙 낮기 때문에 높은 금리라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 2020. 12. 17. 이전 1 2 3 4 5 6 7 8 ··· 15 다음